한국광산업진흥회(회장 : 이재형)와 한국광기술원(원장 : 김영선), 한국조명연구원(원장 : 임기성)은 공동으로 3월 27일 서울시 강남구 양재동 엘타워에서 ‘광융합기술 종합발전계획 기술세미나 및 정책 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포럼 행사는 산업부 유정열 산업정책실장과 광주광역시 관계자, 광융합산업 관련 기관 및 기업 등 약 2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2018년 9월 ‘광융합기술 지원법’ 시행에 따라 광융합산업 육성방향에 대한 산학연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유망 분야 등에 대해 논의하고자 개최됐다.
오전에는 국내 광융합 분야 산학연 전문가들이 미래 광융합기술 중 하나인 마이크로 LED, VCSEL, 광ICT 융합기술, 스마트조명 기술 등 최신 기술 동향을 소개하는 세미나가 개최됐다.
마이크로LED는 컬러 필터 없이 스스로 빛을 내는 초소형 발광물질로서, 빛을 내는 LED 조각을 이어붙이는 방식으로 패널을 만들기 때문에 크기와 형태, 해상도에 제약이 없다.
VCSEL(빅셀)은 전기 신호를 광 신호로 바꿔주는 레이저 다이오드(안면인식 등 활용)를 말한다.
광ICT융합기술은 광기술과 정보통신기술 간 융합(근거리 무선정보통신, 양자암호통신 등)을 말하는 것이다.
스마트조명은 조명의 품질을 유지하면서 환경이나 사전설정 등에 따라 변경 가능한 조명이다.
오후에는 광융합기술 종합발전계획 관련 정책포럼이 개최됐으며, 종합발전계획 수립 현황에 대한 설명(산업부), 광융합산업 시장 및 기술 동향에 대해 발표가 이뤄졌다. 또한 업계 전문가 간에 광융합산업 유망분야, R&D 전략, 인프라 고도화·산업생태계 조성 방안 등에 대한 토론회도 개최됐다.
이날 토론회에서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전기영 소장은 광융합 연구개발 추진전략에 대해 발표했으며, “단기적으로는 산업파급력이 큰 분야부터 우선개발을 추진할 것”과 “광융합 핵심기술 개발에 특화된 연구개발 프로그램을 신설하고 여러 부처 간 공동기획사업을 통해 수요, 공급 부처가 공동으로 참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국광기술원 백종협 본부장은 광융합 기술지원 인프라 고도화 방안에 대해 발표했으며, “전반적인 광소자 국산화 약세와 맞춤형 광소자 공급체계가 부족함”을 강조하며, “광소자 기술공급기지 구축의 필요성과 기존 인프라의 고도화 및 효율적 연계 방안에 대해 논의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한국광산업진흥회 안선영 본부장은 광융합 생태계 조성 방안에 대해 발표했으며, “광융합산업의 체계적인 육성을 위한 종합 컨트롤타워 구축의 필요성”을 설명하며 가칭 ‘광융합종합지원센터’ 구축을 통해 실수요자 중심의 포용적이고 혁신적인 정책 추진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국산업기술대학교 남옥현 교수는 인력양성 방안에 대해 발표했으며, “광산업에 대한 인식 개선의 중요성과 광융합 생태계 기반의 취약함”에 대해 설명하며, “산업계와 학계가 연계해 맞춤형 인력양성을 추진할 것”을 강조했다.
연세대학교 한상국 교수 또한 인력 양성 방안에 대해 발표했으며, “교육투자를 통한 기본역량 강화의 필요성”을 설명하고, “장기적 지원을 위한 정부 역할의 중요성”에 대해 강조했다.
산업부 유정열 산업정책실장은 축사에서 “‘광융합기술 지원법’ 시행(2018년 9월)으로 광산업이 광융합산업으로 거듭날 수 있는 발판이 제공됐다”며, “광산업이 다양한 산업과 융합해서 새로운 시장을 개척할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한편, 국내 광산업은 2000년도에 광산업이 지역전략산업진흥사업으로 지정되면서 광주 첨단산업단지를 중심으로 광산업 클러스터를 구축해 양적인 측면에서는 크게 성장했다.
그러나, 최근 중국발 저가공세 등으로 LED조명과 같은 기존 시장의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여러 기업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 국내 기업들은 자동차, 농수산, 의료, 조선 등 타 산업과 융합을 통해 새로운 시장을 창출하기 위해 노력 중이다.
한국광산업진흥회 이재형 회장은 “‘광융합기술 지원법’ 시행에 따라 광융합산업을 국가전략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 기업 간 허브 역할에 최선을 다 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민우 기자
|